기출무용론에 대한 짧은 생각
안녕하세요 진로관련 글만 잔뜩 썼지만 국어 칼럼러 한달뒤는입니다.
이제 설연휴도 끝났으니 본격적으로 올해 입시 준비를 시작하실텐데, 이 시기쯤 당부드리고 싶은 말에 대해 칼럼까지는 아니고 짧게 적어보려 합니다.
제목을 보고 "아니 요즘 아무도 기출 무용론 얘기 안하는데, 갑자기?" 라는 생각이 들 것 같기는 한데, 지금 기출의 역할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놓지 않으면 6월이나 9월 끝나고 기출무용론 이야기가 스멀스멀 나올때 흔들릴 수 있어요.
어차피 수능때까지 한번은 기출무용론 메타가 돌게 되어있거든요.
간단히 제 생각을 적어보자면
1. 기출만 가지고 수능을 대비할 수 있을까?
이건 시기에 따라서, 사람에 따라서 너무 달라지는 이야기라서 아마 논란이 끊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16년도 이전까지의 수능은 기출 공부를 잘하면 대비가 가능했다고 생각됩니다.
이 시기를 겪었던 분들이 주로 경험에 입각해 "기출만 공부해도 충분하다"라는 주장을 많이 하시는 것 같아요.
그런데 수능 국어에 두 번의 큰 전환점이 있었습니다.
저는 영어 절평을 대비해서 17쯤부터 큰 변화가 한 번, 코로나 시기 쯤부터 메디컬을 노리고 N수하는 분들이 증가(표본이 심각하게 고여서 변별력이 크게 필요해졌죠)해서 큰 변화가 또 한 번 있었다고 봅니다.
이런 시기들을 겪은 이후로는 수능 국어의 난도가 (중간중간 너무 어렵게 혹은 너무 쉽게 출제되어 튈 때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평범한 학생이 지금 시기의 수능을 기출만 가지고 고득점하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 된 것 같네요. 지금 시기의 수능을 기출만 가지고 준비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재능이 있는 학생일 것이고, 이런 부분에서 재능이 있고 없고가 갈리는 것 같습니다.
2. 그럼 기출은 별로 안 중요한가요?
이건 절대 아닙니다.
기출문제는 일단 문제의 형식이나 물어보는 방식에서도 그렇지만, 내용 자체도 교육과정과 평가원이 글을 읽을때 중요하다고 다루는 부분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기본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서 "평범한 학생이 기출만 가지고 고득점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씀드렸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이상의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기출로 다져진 능력들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막상 이거보다 좋은 학습자료가 없기도 하구요.
그래서 결론을 내리자면
기출 학습은 수능 국어를 대비의 기본 전제다... 정도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미래를 생각하려면 현재까지의 내용들은 어느정도 이상 준비가 되어야겠지요.
14년도 기출부터 25년도 기출까지 11개년의 기출에서 생각할 수 있는 부분들을 거의 다 생각해보고 수능 시험을 보러 가야합니다.
2월 동안은 수능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에 당부드리고 싶은 이야기들을 위주로 적어보려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본격적인 국어칼럼도 함께 작성할 예정이니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7번 정류장 0
-
H의 회상 0
-
연탄재 함부로 차지마라
-
♥ 0
-
벽화 0
홍재동 개미마을
-
좌측부터 70-200 줌렌즈 / 미놀타 x-300 + 50.4 20.7팬케익 /...
-
외톨이나무 0
비가 오는바람에 일찍 철수했습니다 ㅠ
-
미놀타 x-300!!번들렌즈랑, 망원렌즈합쳐서 10발에 입양!
-
토이카메라 미녹스 라이카 M3 50이뿌다ㅠㅠ
-
칭따오 1
칭따오 가장 높은 곳에서 내려본 마을 풍경
-
왼쪽의 저 파스텔톤 색깔같은게 참좋아요!!
-
오늘 0
동생이 군대가는날이라 춘천에 가는겸 겸사겸사 출사다녀왔어요~~날씨가 푹해서 다행이네요ㅎㅎ
-
삶의 속도 1
PEN1 + Lumix 20.7mm
-
나들이 0
PEN1 + Lumix 20.7mm
-
외로움... 1
PEN1 + Lumix 20.7mm
-
부스럭부스럭 3
PEN1 + Lumix 20.7mm
-
HDR합성후 후보정했습니다 PEN1 + Lumix 20.7mm
-
HDR합성후에 후보정했습니다PEN1 + Lumix 20.7mm
-
엠티사진 3
은 뱀장어과
-
사진 초보라 구도나 이런거는 잘 몰라요ㅠㅠㅋㅋ 게다가 디카도 아주 오래된 컴팩트 디카네용...
-
DSLR게시판은 dslr로 찍은 사진만 올리는 공간이 아닙니다 똑딱이 카메라나...
-
입문한지 얼마 안됬는데후 보정하는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
다죽어가네요 ㅠㅠ
-
들꽃 4
-
길 1
-
이태원 2
-
09.02.19 올림픽공원
-
삶 혹은 일상 0
09년도에 찍은 사진이네요
-
바스락 2
-
사람냄새 2
-
누군가의 낙서 3
그리고 추억
-
빛의물감 3
-
Red 4
-
무제 0
-
꽃방울 2
재업로드합니다~~
-
배터리 충전을 안하고 갔더니 금방 꺼져버려서 몇장 못찍었습니다 ㅠㅠ
-
asdf 0
-
졸렵다 0
나먼저잘게zzZ
-
날씨가 따땃하니좋네요 ㅋ
-
혹시 대학생 연합 사진동아리나 동호회, 혹은 여행동아리 카페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ㅎㅎ~! 1
여기도 다 학교동아리 밖에 없겠죠 ㅠㅠ
-
젊엇을때 한번정도는 가보면 좋을거같아요 더워서 돌아댕기는데 힘들더라구요......
-
가운데 움푹 패인 곳에 있는 호수가 소양호인데 ㅋㅋㅋ 어떠실려나요 ㅎㅎㅎ
-
정말 갖고 싶던거라.. 수능 끝나면 바로 살수 있겠지 했는데... 암울하네요 ㅡ.ㅡ...
-
경춘선 뚫리면 그 기념으로 그쪽 출사 간다면 가실 분들?? 2
원조 닭갈비도 즐길 수 있고 ㅋㅋ 뭐 가실려면 주로 가족 분들이나 친한 친구끼리 가시겠지만 ㅋㅋ
글 잘 읽었습니다.
혹시 언어 영역 시절 옛기출은 굳이라는 입장인가요?
하면 당연히 좋긴한데, 아무래도 중요도가 14이후 기출보다는 많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성적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14이전 기출들은 선별해서 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인 기준으로 선별해보면 비문학보다는 문학이 건질 만한 문제들이 더 많은 것 같기는 하네요.
공부할 범위를 너무 늘리는 것보다 14~25 기출을 밀도 있게 다루는 게 좋다
정도로 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국어는 기출 공부 다음에 무슨 컨텐츠를 해야할까요? Ebs와 사설 실모,혹은 리트를 풀면 되나요
기본적으로는 ebs, 실모, 리트를 하면 되는데 기출 공부라는게 딱 "끝났다"라고 할 수 있는 공부는 아니라서 계속해서 병행은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또 기출 공부가 어느정도 된 이후라면 "나한테 이게 필요하겠다" 감이 어느정도 올 거에요.
그 부분을 메워줄 수 있는 컨텐츠가 무엇인지가 중요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