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5등급인데 의문사절이해안가는거도움좀...
영어교재 의문사절 파트에서
'의문사가 이끄는 절은 주어,(동사/전치사의)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끈다' 라고나와있는데 '이끈다'라는게 정확히 무슨뜻인인가요?
강의에서 (Who wrote the lyrics) doesn't matter라는 예문설명할때 명사절역할=의문사절역할 이라는것만 설명하고 저문장 에대해서는 설명도안해주던데
도대체 의문사가이끄는절이 명사절을 이끈다는게 뭔소린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
1위 : HLE Viper 4위 : kt deokdam 11위 : T1 Smash...
-
등록 어케함?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또, 뛰어난 실력을 지니신...
-
내가 만든 레어 0
전부 수능 goat분께 가서 그래도 만족함 흐흐
-
수웩~
-
ㅇㅇ
-
메가에서는 8칸이길래 안정으로 썼더니 예비 27번이 나왔네요;; 총원 65명에...
-
맞긴한데 될놈들은 망해도 백분위 잘받고 대학 잘감 화1만 아니라면 화1도 올해는...
-
고민되네
-
레어확인용 0
오댕이귀엽다
-
정석민 문학 2
자 커리에서 문개정 필수인가요??
-
정시 등록 방법 0
정시 등록할때 3개 최초합이면 진학할 학교에만 등록금 넣고 나머지는 냅두면 되는거죠??
-
지금 바로 자퇴 신청해야하는거임?? 지금 당장 해야지 수요일까지 납부하고 또...
-
호호호
-
어떻게 일찍 일어나나요.. 9시 기상이 디폴트인데ㅜㅜ 적어도 7시에는 일어나고...
-
수학 물리위주의 기계공 전전 건축공 물리학과는 여자가 거의 없고
-
숨고 ㅅㅂ 1
돈벌려는데 돈내라는건 뭔 개소리임?
-
부계 관련 질문 10
오르비 계정 2개면 불법인가요? 동일 명의 2개 아니어도 불법인가요? 부계에 덕...
-
너무 당당하게 하고계셔서 도111촬마려움
-
저렇게까지해서 버리다니..
-
이게 마지노선임..제발료 ㅜㅜ
-
바로 입금해드림 ㄱㄱ
-
시대인재 낮반 2
목동 시대인재 낮반(수학3) 갈거같은데, 낮반 쌤들도 괜찮나요? 솔직히 저는 다...
-
1. (A가 거짓->모순)->(A가 참이라는 증명이 있음) 1번은 귀류법이고 참...
-
어디가 나을까요?? 가능하면 이유도 부탁드립니다..
-
국어100점 수학100점 영어1등급 반드시 달성
-
경제가 많이 안좋은가봄
-
흐암 0
러셀기숙에서 썩어서 왓답니다
-
1차대기자는 잘붙나요?
-
운동하러 갑니다 1
헬스장으로 출발~
-
제발
-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 61명 뽑는 학과에서 예비 43번 받았습니다 충원률 70퍼...
-
얼버기 13
오르비언들 다 잘 잤죠?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이미 25살이라 글렀다 13
30살까지도 안돼서 마법사 될거같애
-
운명의 짝을 발견하쟈
-
정법 장점:재밌음, 본인이랑 잘 맞는듯, 답이 딱 떨어짐 단점:고인물.고수들...
-
어떻게 해설해도 너무 사후적인거같은데
-
이럴리가
-
레어 사시면 레어값 보내드립니다
-
"유심이 애국심"…탄핵반대집회서 알뜰폰 추천·가입 독려 1
전광훈 목사 측 쇼핑몰·신용카드 등…자금력 주목 속 조달구조 지적도...
-
1. (A가 거짓일때->모순이 있다)->(A가 참이라는 증명이 있음) 1의...
-
레어값 절반 보내드림
-
기상했습니다 4
룰할루루자동완성어케업ㄱ애는 건지 모르겠다 이제는
-
리젠 망햇네 3
에휴이
-
생글 강좌중에 ‘논리적’ 뜻이 뭐야. 또 ‘이치에 맞는’ 이요~ 이러지 말고...
-
현역 국어 수학 44 였구요 재수 때는 수학을 거의 안 해서(예체능입니다) 45...
-
똥먹기 13
미소녀 똥 우걱우걱
영어교재 의문사절 파트에서 ~ 라고나와있는데 '이끈다'라는게 정확히 무슨뜻인인가요?
A. 이것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려면 선행개념을 알고 계셔야 하는데 얼만큼 알고 계신지 가늠할 수 없어 문제가 있습니다. 다만 할 수 있는 최대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어떤 절이 존재한다 가정하겠습니다.
(문장은 편의상 '절'이라 부르겠습니다)
I love you
이렇게 문장이 존재할 때, 이 문장의 맨 앞에 '명사절 접속사'라는 것이 붙으면 해당 문장은 통째로 하나의 명사로 바뀝니다. 이때 이렇게 명사로 바뀐 절을 통틀어 '명사절'이라 부릅니다.
따라서 명사절 접속사 that이나 whether 등을 붙여서
that[whether] I love you
가 되면, 이 문장을 '명사절'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상황을 '명사절 접속사 that[whether]이 명사절을 이끈다'라고 표현합니다. 명사절 접속사는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편의상 'that이 명사절을 이끈다'라고 줄여 부릅니다. (이때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을 통칭 'that 이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같은 맥락으로, 어떤 문장을 통째로 하나의 부사로 바꿔주는 '부사절 접속사'라는 것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사절 접속사 중 하나인 because를 어떤 문장의 맨 앞에 붙여서
because I love you
가 되면, 이 문장을 '부사절'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상황을 '부사절 접속사 because가 부사절을 이끈다'라고 표현합니다. 부사절 접속사도 명사절 접속사처럼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편의상 'because가 부사절을 이끈다'라고 줄여 부릅니다. (이때 because가 이끄는 부사절을 통칭 'because 이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제 의문사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의문사는 상당히 난도 있는, 못해도 중급 이상의 개념이니 잘 따라와 보시기 바랍니다.
의문사(what, which, when, why...)는 항상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때 의문사의 뒤쪽은 '의문문'으로 배치되는 규칙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문사가 쓰이면 문장은 항상 '의문사 + 의문문' 구조를 띠게 됩니다.
(이때 의문사가 있는 문장을 의문사절이라 부릅니다. 다시 말해 '의문사 + 의문문'을 의문사절이라 부릅니다)
그래서
what + do you like? (의문사 + 의문문)
Who + is the boy? (의문사 + 의문문)
등을 모두 의문사절이라 부를 수 있는 겁니다.
이처럼 의문사절은 '의문사 + 의문문'구조로 사용되나,
'의문사 + 평서문' 구조로 바꾸게 되면 '의문사 + 평서문'이 통째로 하나의 명사절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what + you like (의문사 + 평서문)
who + the boy is (의문사 + 평서문)
같은 것들은 모두 명사절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명사절이 된 의문사절은 그냥 '의문사절'이라 부르지 않고 '간접의문문'이라고 구분해서 부릅니다. (즉, 명사절이 된 의문사절을 '의문사절'이라 부르면 틀립니다. '간접의문문'이라고 구분해서 불러야 합니다)
그런데 의문사는 의문사절로 쓰이든 간접의문문으로 쓰이든 항상 문장의 맨 앞에 놓입니다.
그래서 의문사가 간접의문문으로 쓸 때는 어차피 의문사가 해당 명사절의 맨 앞에 있으므로 '의문사가 명사절을 이끈다'라고 표현하는 겁니다.
예로 드신 'Who wrote the lyrics) doesn't matter' 문장은 '의문사 who(S) + wrote(V) + the lyrics(O)'로 평서문 구조를 띠므로 의문사절이 명사절, 즉 간접의문문으로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who가 명사절을 이끈다고 표현한 겁니다.
여기서의 의문사는 주어에 해당해서 제가 앞서 드렸던 예시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평서문'구조로 쓰인다)와 조금 다르긴 합니다만.. 설명에 한계가 있어 이하 생략합니다.. 애시당초 이런 개념은 댓글로 짧게 설명할 수 있는 게 아니라서 배우실 때 제대로 배워야 합니다 ㅠㅠ.
Q. 강의에서 (Who wrote the lyrics) doesn't matter라는 예문설명할때 명사절역할=의문사절역할 이라는것만 설명하고 저문장 에대해서는 설명도안해주던데
A. 대부분의 수능 강의는 영포자가 따라가기엔 여러 에러사항이 많습니다. 영포자를 배려하게 되는 순간부터 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수능강의가 아니라 기초~고등강의가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
이 설명이 이해가 안되실 수 있고, 설령 이해했더라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실 텐데요.
애초에 공부 순서가 뒤죽박죽 섞여서 그러는 겁니다.
원래 문법이라는게, 구문이라는게 생각하시는 것만큼 결코 많지도 어렵지도 않은데,
그 순서를 차곡차곡 FM대로 지켜가며 공부하는 분들이 드물다 보니 영어가 뒤죽박죽 자꾸 섞이게 돼서 어려운 겁니다..
의문사 + 주어 + 동사 ~ 이렇게 있으면 (‘절’이란: ‘주어 + 동사’ 포함한 문장) 이게 통째로 문장 안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에 들어간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