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풀 때 해석
1 2 진동인데 최저러라 무조건 1 띄워야 하거든요
원래는 그냥 이해되는 대로 빠르게 읽고 선지보고 안나오면 여러번 빠르게 읽었는데
션티쌤 캐스트에서 무조건 한국어로 해석하라고 하셔서 그렇게 해보니까
글은 더 잘 이해가 되는대 시간이 부족하더라고요
걍 읽으면서 한국어 거치지 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vs 한국어로 해석하면서 읽기
뭐가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일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흐흐 오늘 한 5명한테 피부칭찬들음
-
y에 대한 내림차순이면 x에 대한 식들은 아무렇게나맘대로 배열해도 되나요? 막 일차...
-
아공부하기실타 4
-
헛되구나
-
영어 균형이론 0
시머인재북스에서 나온 독학선데 풀어본 분 있어요?
-
교과서 PDF 다운 받는 법 아시는 분...?????? 0
고1 창비 국어 교과서 목차라도... 알려주실 분 ㅠㅜㅠㅜㅠㅜ 검색해보면 다른...
-
강기분 0
하기전에 피램 돌리고 가는거 좋을까요
-
1. (A가 거짓->모순)->(A가 참이라는 증명이 있음) 1번은 귀류법이고 참...
-
.
-
제발 아니길...
-
가천대 의예과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
일단 디스토피아적 sf 요소가 도라에몽이 훨씬 강함 안녕 자두야에서는 디스토피아적...
-
레어 그으지 2
-
그리고 앵간하면 그게 팩트기도 함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홍대25][자린고비 새내기들을 위한 홍익대 장학금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평가원 전문항 기출 주간지 형태로 나눠서 일년동안 깔짝이면서 풀수있는 교재 있음?...
-
헬스장 도착 0
춥구만기래
-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
1위 : HLE Viper 4위 : kt deokdam 11위 : T1 Smash...
-
등록 어케함?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또, 뛰어난 실력을 지니신...
-
내가 만든 레어 0
전부 수능 goat분께 가서 그래도 만족함 흐흐
-
수웩~
-
ㅇㅇ
-
메가에서는 8칸이길래 안정으로 썼더니 예비 27번이 나왔네요;; 총원 65명에...
-
맞긴한데 될놈들은 망해도 백분위 잘받고 대학 잘감 화1만 아니라면 화1도 올해는...
-
고민되네
-
레어확인용 0
오댕이귀엽다
-
정석민 문학 2
자 커리에서 문개정 필수인가요??
-
정시 등록 방법 0
정시 등록할때 3개 최초합이면 진학할 학교에만 등록금 넣고 나머지는 냅두면 되는거죠??
-
지금 바로 자퇴 신청해야하는거임?? 지금 당장 해야지 수요일까지 납부하고 또...
-
호호호
-
어떻게 일찍 일어나나요.. 9시 기상이 디폴트인데ㅜㅜ 적어도 7시에는 일어나고...
-
수학 물리위주의 기계공 전전 건축공 물리학과는 여자가 거의 없고
-
숨고 ㅅㅂ 1
돈벌려는데 돈내라는건 뭔 개소리임?
-
부계 관련 질문 10
오르비 계정 2개면 불법인가요? 동일 명의 2개 아니어도 불법인가요? 부계에 덕...
-
너무 당당하게 하고계셔서 도111촬마려움
-
저렇게까지해서 버리다니..
-
이게 마지노선임..제발료 ㅜㅜ
-
바로 입금해드림 ㄱㄱ
-
시대인재 낮반 2
목동 시대인재 낮반(수학3) 갈거같은데, 낮반 쌤들도 괜찮나요? 솔직히 저는 다...
-
1. (A가 거짓->모순)->(A가 참이라는 증명이 있음) 1번은 귀류법이고 참...
-
어디가 나을까요?? 가능하면 이유도 부탁드립니다..
-
국어100점 수학100점 영어1등급 반드시 달성
-
경제가 많이 안좋은가봄
-
흐암 0
러셀기숙에서 썩어서 왓답니다
-
1차대기자는 잘붙나요?
-
운동하러 갑니다 1
헬스장으로 출발~
전 걍 1번파요
전 1번파요 띵학쌤 방식ㅇㅇ 2는 시간 부족함
저도 띵학샘 리로직이랑 그불구 듣는데 신택스 알고리즘에서 그냥 자연스럽게 읽으라 하시던가요?
강의에선 해석을 해주셔서션티쌤처럼 읽으라 하시는줄 알았는데..
신택스에서 백번쯤 들은게 부드럽게 해석해라 이건데 이게 거의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거랑 비슷해요
걍 읽으면서 한국어 거치지 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vs 한국어로 해석하면서 읽기
A. 어느 쪽이든 잘쓰면 상관없습니다. 공부한 독해법에 따라 달라지는 겁니다.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배웠다면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는 걸 배웠다면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게 됩니다.
뭐가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일까요
A. 이 둘의 문제는 좋고 나쁘고 구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무엇이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이냐고 묻는 것이 무의미합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1번에 대한 A와 마찬가지로, 잘 쓰는 게 곧 좋은 겁니다.
----
여담으로, '부드럽게 해석하라'라는 의미는 꼭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 것만은 아닙니다.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더라도 물 흐르듯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이 얼렁뚱땅 소위 '단어만 더듬더듬 번역하는 해석'을 하니까 '조사'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부드럽게 해석을 해내지 못하고, 그로 인해 '한국어 해석 = 부드럽지 않은 해석'이라는 인식이 생긴 듯 합니다.
해석을 부드럽게 하는 건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 것도, 한국어로 바꿔 받아들이는 것의 문제도 아닙니다.
해석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따로 배워야 합니다. 영어의 경우라면 많은 문장을 접함으로써, 한국어의 경우라면 조사를 활용하는 훈련을 하면서 말입니다.
마치 축구에서 드리블할때마다 생각해서 차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