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외국어 영역 공부하시는 분 많나요
응시 말고 '공부'입니다
틀딱 수험생인데, 나름
2018 9평 일본어1 45점 (백분위 90)
2018 수능 일본어1 45점 (백분위 93, 이상 1컷 46)
2019 6평 일본어1 46점 (백분위 97, 1컷 45)
2025 9평 중국어1 절대평가 1등급
2025 수능 러시아어1 응시 예정
으로,
특정 제2외국어 영역 과목/언어 하나면 몰라도 제2외국어 영역 전반(한문1 포함)에 대한 이해도가 저보다 높은 분은 얼마 없을 것이라고 나름대로 자신하는데
수요가 많다면 효율적으로 제2외 2~3등급 받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분들 대상으로 칼럼도 쓰고 책도 내보고 싶거든요.
물론 제가 올해 입시판 탈출한다는 전제 하에…
과연 수요가 충분히 있을까요?
정작 저는 올해 제2외 성적이 아무 상관 없는 미적과탐 응시생입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흐흐 0
-
얘드라 미아내... 아무리 생각해도 참신한게 안떠오른다 ㅅㅂ
-
전에 메이드카페 같이가서 내꺼까지 걔가 사준이후로 형님으로 모심 총 50나왔더라
-
그러고보니 1
난이제 고졸이니 중졸 무시해도 되겠네 ㅋㅋ?
-
시끄러워 2
중졸
-
히키니트에겐 집이 필요해..
-
진짜 옯창된 느낌이네 옯창단의 필수 덕목이 프사였던거구나
-
옛날 초딩들은 5
여름이 되면 밖에 나가서 잠자리 잡고 올챙이 잡으러 계곡을 갔어요
-
얻은게많은거같아요
-
집값메타 드가자 2
과자집 만들까 5000 원이면 충분할듯
-
원래 지고있었어서 욕만 하다가 마지막에 이기니까 서로 칭찬해주자 하면서 우쭈쭈해줌
-
우주 끝까지 고로시해서 개그소재로 쓰는 스타일인데 좀 가혹할수있다는 생각이들어서...
-
25리트 집에서 시간재고 풀었을때 130점대 후반이었습니다 원래 책 많이읽었고...
-
난 버정에 누워있다니까
-
여전히 맛이 간 그 구단
-
집값메타라 4
부모님집 5000/180 자취방 1000/70 우웅 자가는없어 ㅜㅜ
-
인생 조졌다 0
지금이라도 깨달아서 다행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살면 됨 안늦음 …
-
덕분에여러분들을만나게되었잖아요 ㅎ.ㅎ
-
그냥 엄청 빨아주셈 와 니네집 부자인거 너무 부럽다 엄빠가 어떻게 판사에 의사냐...
-
히히 새르비 참가
-
2부리그 꼴등한테 발리네 ㅋㅋㅋㅋ 토트넘 뭐하냐
-
온갖 ㅈ같은 새끼들이 지들 부자인거 쳐 자랑하고
-
현역 45346에서 재수해서 34324로 조금이지만 올랐어요.. 현재 3예비를 받고...
-
회피형 특징 0
사귀기 전 맘에 드는 사람 있음 - 표현은 안 하는데 개티남 소개시켜줄까?...
-
김승리 강민철 1
김승리 강민철 각자의 장점이 무엇인가요? 독서는 누구, 문학은 누구 이런게...
-
저는 집 없음 5
지금 버정에 누워있는거임 냉장고는 옆에 쌓인 눈
-
나도 광댄데 1
나 버기임
-
날 보고 웃는건 나도 좋은데 날 보고 비웃진 않아줬으면 좋겠음. 가뜩이나 자존감 밑바닥인데...
-
엊그제 강남성모병원 처음봤는데 ㄹㅇ멋지더라...
-
레어 한번만 더 뺏어가시면 피켓도 듭니다 진짜로
-
머나먼옛날에 3
차가 쌩쌩 지나갈때마다 뛰어드는 상상을 했는데 그 후유증으로 차가 무서워짐
-
수능은 1등급이긴 한데 몇년 지나니 내용도 잘 기억안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도 감이 안옴
-
부정적분에서도 뭐가 변수인지,뭐가 상수인지 잘 파악해야됨
-
잠온다 5
-
술은 좋아 4
기분이 high해져
-
쓰레기같은 인생이 되지는 않았을텐데
-
광대 아니면 할게 없음. 광대까지 뺏으면 나는 뭔데?
-
좋은점들도 많긴한듯 근데 종합적으로는 안했으면 더 좋았을듯
-
원진아님 너무 이쁨 내 스타일..
-
회피형 레전드 2
-
비틀즈스럽군 1
애비로드스러워 익숙한 맛이야
-
옯뉴비의 레어를 뺏어보겠습니다
-
이상이너무높아~ 3
초과
-
언젠가 강기분 문학 부록 강의 스튜디오에서 찍어서 올려준다 하셨던 거 같은데 부록은 강의가 없나요?
-
ㅅㅂ ㅋㅋㅋ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낮은사람이하면진짜우울증온다
-
연애를 2n년째 회피중임
-
경제적인 부분 때문에 컨텐츠 장학까지 준다는데 고민되네요... 후기 좀여 !
-
나 부모님 직엊 신나게 밝히고 다녔었거든? 주변 사람들이 다 바보같지? 애들 다...
-
설명만 들으면 썸일 때 얘기 같은데
저는 중국어I 도전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초반에는 나름 우수한 성적이었고
제1전공어는 아니었지만 부전공이었어서
미련이 남네요
러시아어도 수능 끝나면 토르플 준비 해 봐야 겠네요...
절대평가 전환 이후 중국어1 진짜 많이 쉬워졌습니다. 상평 시절 4등급까지 절평 1등급 노려볼 만하다고 생각해요. 홧팅!
팔로우했습니다
근데 정말로 정말로 수요가 없는 듯하네요…
부끄러워서 말 안하능거임
혹시 공부법이나 공부방향,팁 짤막하게라도
부탁드립니다 ㅠㅠ
쓰신 글들 읽어봤는데, 아직 기초 문법도 모르시는 상태라면 우선 수능 범위 문법부터 보세요. 메가 프랑스어 선생님 강의 좀 들어봤었는데 괜찮았어요. 제2외는 교재 수요가 없어서 피뎁으로 올리는데 그래도 신경을 써주신 편이더라고요..
지금 바로 연계교재 들어가시면 뭐부터 해야 하는지 감도 안 잡힐 거예요. 연계교재는 막판에 보시고, 보실 때도 문제나 단원별 제시문은 모조리 패스하고 개념(문법, 문화) 설명만 쭉 읽으세요. 모든 단원 개념 다 봤으면 그때 가서 단원별 문제 쭉 푸세요. 문제까지 다 풀고도 제2외 더 볼 여력이 있으시면 그때 단원별 제시문 보세요. 그렇게까지 많은 시간을 투자하실 이유는 없겠지만..
참고로 제2외 수특은 단원별 제시문이 상대평가 시절의 잔재로 어렵기도 어렵고, 단원별 개념 구성이랑 매칭도 잘 안 됩니다. 놀랍게도 현재 상태가 나름 절평화 이후 많이 나아진 거예요. 상평 시절엔 전범위+a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제시문이 1단원 첫 페이지부터 떡하니 있었습니다..
구매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제2외 수완은 오직 실모 10회분만 있습니다. 개념설명이나 유형별 문제 이런 거 없어요. 그냥 유일한 시중 실모라고 생각하세요.
더하여 현재 성적대를 감안했을 때 문법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대화문을 읽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정도로만 이해하고 암기하는 게 좋을 거예요. 문법 문제(27~30번)는 대비할 생각 하지 말고 그냥 찍는 게 나을 겁니다. 절평 기준 최소 3~4등급 진동 수준은 되어야 문법 문제를 대비할 베이스가 생기는 거라서..
제2외국어(한문 미포함) 영역 시험지의 기본 구성은 이렇습니다. 베트남어/아랍어는 좀 다른 부분이 있는데 따로 언급 안 할게요.
- [1~5] 기초언어지식: 문자, 발음, 강세, 성조 등 및 기초어휘를 다루는 파트예요. 영어랑 같은 알파벳을 쓰는 서양어는 문자/발음 2문제 어휘 3문제, 문자가 다른 동양어는 문자/발음 3문제 어휘 2문제가 나옵니다. 사이에 있는 러시아어는 변칙적인 것 같아요.
- [6~21] 의사소통: 다양한 대화문, 실용문 문제가 나옵니다. 일본어랑 러시아어는 [11~26]으로 배치가 다릅니다.
* 실용문은 영어 영역 [25~28] 느낌이라 생각하시면 되는데, 보통 제시문 정보를 비틀어서 틀린 선지를 만드는 영어와 달리 제시문이 짧다 보니 제시문에 아예 없는 소리를 하는 선지가 많습니다.
* 대화문은 워낙 다양해서 오히려 생각나는 팁이 잘 없네요.. 과목(언어)에 따라 특징적인 유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국어는 관용표현 해석 문제가 꼭 나오고 독일어는 지도랑 날씨 주는 문제가 빈출인 듯했습니다.
- [22~26] 문화: 역시 일본어, 러시아어는 [6~10]으로 배치가 다릅니다. 암기형, 독해형,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 암기형은 그냥 지식 알면 풀고 모르면 못 푸는 문제입니다. 일본어로 치면 장마가 와서 이걸 걸었어! 하면 테루테루보즈 그림을 골라야 하는, 진짜 내신 같은 유형입니다. 연계교재에 나오는 문화 내용 달달 외우면 효과가 있을 거예요.
* 독해형은 영어 [21~24]마냥 읽고 풀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의사소통 파트에서 독해 지문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문화에서 내요. 선지를 한국어로 주냐 원어로 주냐도 난도 조절 요소가 됩니다.(절평 후엔 한국어가 주인 것 같습니다) 팁이라기엔 하찮지만, 독해형은 필연적으로 출제범위 어휘를 넘어가게 되어 있어서 보통 각주가 줄줄 달려 있습니다. 지문 이해가 어렵다면 각주로 잘 궁예해보시는 것도..?
* 혼합형은 지문도 읽어야 하고 암기도 되어 있어야 하는 유형입니다.
- [27~30] 문법
소위 '문표옳'과 나머지로 나뉩니다. 문표옳은 그냥 여러 문장 던져주고 옳은 문장을 (하나/모두) 고르는 유형인데 상평 시절 외고 상위권과 준원어민급 수험생도 속절없이 틀리는 변태적인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현재는 아예 없어진 과목(언어)도 많고, 이 유형이 남아 있어도 난도나 문항 구성이 대폭 완화되었습니다. 상평 시절엔 오답률 1, 2등에 무조건 랭크됐고 오답률도 84% 86% 이랬습니다. 그냥 찍는 문제라는 거죠. 근데 요즘은 이 유형이 남아있는 과목(언어)도 오답률 최상위를 안 찍는 경우도 많고 찍더라도 오답률이 유의미하게 낮아졌습니다.
나머지 유형은 그냥 평범한 외국어 초급 문법 문제 형태예요. 실력이 된다면 무난히 맞힐 수 있는 수준이지만, 지금 그 정도를 노리시는 입장은 아닌 듯하니.. 의사소통 파트 읽을 수 있는 정도로만 문법 공부하고 넘기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기출은 절평화 이후 기출만 푸세요. 상평 시절이랑 난도 차이가 많이 커서, 절평 3등급 이상이 아닌 이상 상평 시절 기출 소화하기도 힘들 거예요. 22수능 때 선제적으로 난도를 크게 낮췄는데도 독일어 빼고 1, 2등급 비율이 전부 박살이 나서 이후 더 쉬워졌습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09.gif)
정성 답변 정말로 감사합니다!!잘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