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vs 경제 뭐가 다를까??
수능 성적표도 나왔고 정시의 계절이 다가왔네요! 기분이 울적할 수도 있고 신나서 몸을 흔들고 있을 수도 있지만 입시는 그래도 최선을 다해야 하니 문과 친구들 대부분이 고민하는 경영 vs 경제 뭐가 다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저는 서울대 경제/경영 중 한 곳에 다니고 있는데 제가 원서쓰던 2-3년 전에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습니다.
'아...경영쓸까...? 한글이름은 경영이 간진데...'
'스읍 근데 Department of Economy 못 참는데...'
따위의 생각을 했었어요. 그때도 막 오르비나 대학백과 이런 데 찾아보고 그랬는데 그래도 잘 모르겠더라고요...? '인싸면 경영 아싸면 경제' 이런 것만 기억에 남고. 그래서 찍다시피 원서를 썼었는데 그런 우를 방지하고자 경영과 경제를 원서쓰는 입장에서 비교해봤습니다.
렛츠 기릿.
(과 분위기나 이런 건 저희 학교 기준이라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니 대략적인 내용만 봐주세요)
1. 배우는 것
(서울대 경영/경제 홈피에 들어가시면 로드맵, 과목 이름 나와있으니 참조)
-경영
우선 경영학이 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거다. 경영학은 말 그대로 '기업 경영을 위해 필요한 학문'이다. 이 말을 듣고도 이해가 안 가는 사람들이 많을 테니 풀어서 설명하면, 경영은 회계, 재무, 마케팅, 인사/조직, 경영관리, MIS(경영정보시스텝), 경영전략 등 7개의 학문을 뭉쳐서 부르는 말이다.
경영학과에 들어가면 회계, 재무, 마케팅, 인사/조직, 경영관리, MIS(경영정보시스텝), 경영전략을 배운다고 생각하면 된다.
회계는 말그대로 계산을 오지게 하는 거고, 재무는 자금조달을 어떻게 할지, 마케팅은 말 그대로고 인사/조직은 조직 운영 이론, 경영관리는 산업공학이랑 비슷한데 시스템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굴러가게 할지 배우는 거고, MIS는 경영에 필요한 IT 지식, 경영전략은 말 그대로다.
-경제
경제는 경영과는 다르게 하나의 사회과학 학문의 느낌이 짙다. 경제원론부터 시작해서 경제학을 다루는 데에 필요한 수학, 통계학 등을 배우고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을 배운 뒤 각론으로 넘어간다. 계량경제학, 노동경제학, 수리경제학, 행동경제학 등등 그냥 경제학의 여러 면모들을 배운다. 게임이론이나 <넛지>에서 다루는 내용, 수능 경제 내용이 다 경제학에서 배우는 내용이다.
문과의 수학과라는 별칭처럼 수학을 많이 쓰는데 공대만큼 쓰지는 않지만 경제 이론 자체가 수리적 서술이 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수학을 좋아하면 잘 맞을 수 있다.
2. 진로
이거는 대학별로 편차가 심해서 다른 학교가 어떻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서울대 기준으로 보면 우선 경영 경제에서 겹치는 진로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특정 과가 좀 더 강세를 보이는 진로가 있는데, 컨설팅, IB, CPA 쪽은 경영에서 좀 더 많이 가는 것 같고 행시, 금공, 로스쿨은 경제에서 많이 가는 것 같다. 전공이나 활동을 보면 이럴 수밖에 없는 것 같긴 하다. 하지만 겹치는 게 많아서 경영에서도 로스쿨 많이 가고 경제에서도 CPA 많이 찍먹한다. 스타트업은 확실히 경영에서 많이 한다.
경영은 대학원을 가는 사람 진짜 별로 없고 경제는 그래도 약간은 있다.
3. 성향/특징
-경영
일단 경제에 비해 전반적으로 뭉치는 분위기가 강하다. 팀플이 학교 전체에서 손꼽힐 정도로 많고 대외활동이나 동아리, 학회 조직도 상대적으로 잘 조직돼있다. 입학하면 4개의 반으로 나뉘는데 반 사람들끼리도 많이 친한 편이다.(4개 반 중에서도 분위기가 조금씩 다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수학보다는 영어를 많이 쓴다. 하지만 수학도 많이 쓴다.
-경제
경영에 비해 개인플레이 느낌이 강하다. 팀플? 그딴 거 없고 문제 잘 풀면 된다. 활동도 경영에 비해 많이 안해도 된다. 전반적으로 체감하기에 조용한 친구들이 약간 더 부각되는 느낌이긴 하다. 입학하면 3개의 반으로 나뉘는데 반 사람들끼리 친한 편이긴 하지만 으샤으샤 느낌은 아닌 듯. 뭔가 경영이 고대면 경제는 연대 느낌. 영어도 많이 쓰긴 하는데 수학이 좀 더 중요하긴 하다.
원서를 쓸 때는 우선 진로를 생각해서 하는 게 젤 좋을 것 같다. CPA, 컨, IB, 스타트업에 관심있으면 경영 쓰고 경제학을 배우고 싶거나 팀플 싫거나 행시, 금공 등에 관심이 많으면 경제를 쓰는 게 좋을 듯.
성비는 서울대의 경우 경영이 여자 비율이 더 높다. 대체적으로 경영이 영어 잘하고 경제가 수학 잘하는 건 맞다. 하지만 막 그렇게 심한 차이는 아니니까 영어 못한다고 경제 가거나 수학 못한다고 경영 갈 필요는 없을 듯 하다.
개인적인 의견이나 편견은 뺴려고 최대한 노력하고, 경영/경제 다니는 여러 사람한테 교차 확인받은 내용이긴 한데 혹시 반박시 그 말도 맞습니다. 질문이나 더 궁금한 거 있으시면 댓글로 ㄱ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해 이런쪽은 싸그리 롯데임 그냥 올라가면 삼성이 엘도라도 부르고 있고 고개 돌리면...
-
노장이라 그런지 이것저것해서 첫달 납부료가 400이네요 ㅋㅋㅋㅋ….
-
강기분 문학에서 고전시가 푸는데 문장 해석이 어렵고 턱턱 막혀서요 피렘 고전시가 괜찮은가요?
-
야구장은 라팍이랑 창원이 ㅈㄴ 예뻤고 특유의 야구장 감성은 잠실이 넘사였음 (참고로...
-
입시 3년 만에 3예비를 예측 중인 나...
-
30분째당신만기다려
-
바로 압박조사 3시간 들어감
-
게게이게이게이게이이진짜 모름
-
초딩때 카이스트가 해외대학인줄 알았음 그래서 영재반에서 선생님이 아는 해외대학...
-
욱이 욱이 욱이가 와썹 베베 하나쌔리라~ 직관 데려간 애들 다 저 노래에 꽂힘 ㅋㅋㅋ
-
영어기출문제를 꼼꼼히 풀어봐야 하는 이유(나는 이 문제를 풀어봤어요!) 1
(마우스 우클릭 후 새탭에서 이미지 열기를 하시면 크게 보입니다)
-
수학 기출 문제집중에 괜찮다 싶은거 있나요?
-
난 2시간 전의 나보다 강해졌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 죽이는 칼럼 쓸까
-
원정팬이 적어서 자리 구하기 편함
-
야개 씨발! 찬경하지않는담 넌 신의저주를받게대 진짜 갇뎀
-
수학 공부 시간 부족한 편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2
월~금 : 4~5시간 토 : 8~10시간 수학공부중입니다. 일요일에 강기원샘 단과...
-
삼성 우승 드가자
-
담배 몇년생부터 1
가능한가요
-
얼버기 8
-
크하하하 0
.
-
상지한b 예비 0
올해는 몇 번까지 돌거 같음? 3개년 추합이 61,57,7x 이정도던데
-
기출코드 이제 시작하는증ㅇ,ㄴ데 기출문제집을 플러스북을 사는게 좋을까요...
-
카이스트 예비 1
추합은 수시로 들어가서 확인해야되나요 또 카이와 경한 님들은 어디선택하시나요?
-
상지 예비받았당 4
예비번호가 생각보다 긍정적이라 좋네요
-
S모씨처럼 특정 대학에 빠삭하다던가 그런거 서울대 학종은 그나마 좀 아는 것 같은데...
-
학원 강사 나부랭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 내신 주관식으로 내면 몇 점이 적절할까요? 4
(a^3+b^3+c^3)-3abc 인수분해한 공식은 알아도 인수분해하는 과정을...
-
6평전까진 도서관에서 하려는데 ㄱㅊ?
-
안녕하세요 여러분, 수능 영어강사 김지훈입니다! 제가 요 며칠 친구들과 Q&A를...
-
김상훈 이원준 0
강기분 독서, 문학 끝내고 바로 김상훈선생님 문학론 + 유네스코 이원준 브크 탈려고...
-
우드득 하고 주삿바늘이 얼굴로 들어오는게 느껴짐 볼페임 피해서 넣어주시는거 맘 쏙 들
-
휴릅 5
네
-
독서->문학 하루하루 번갈아 가면서 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독서,문학 하루에 같이...
-
최초합해서 기분은 조음 근데 7칸 짜리 쓴거라 다른 대학은 아직 발표가 안됐거든요...
-
어디가 더 높나요..?
-
서울대 BB CC에 관해 잘 아시는 분 제 고민을 들어주실 분 없나요 0
쪽지로요...ㅜㅜ
-
수특 독서 1
앞에 개념학습에 나오는 지문들도 봐야됨?
-
상지 B형 190번대ㅋㅋㅋ 지방약대는 되려나요 ㅠㅠㅠ 4
수학 미적 100인데 걍 생각없이 B형 질렀는데 예비 190번대 떴네요 ㅋㅋㅋㅋㅋ...
-
이게 머노....
-
세시간잤다가 일어나니까 눈에다가 바늘찌르면서 이래도 안자? 이러는 것 같음
-
그냥 그쪽에서 자취하면 그만 아닌가요..? 지방이라 돈도 많이 안 깨질텐데..
-
카이스트 최초합 인증 10
오르비에 붙은 사람이 많길래.. 카이스트 추가하고 갑니다
-
어 나는 3년전에 새내기였어 #~#
-
일주일에 수업 4번이면 학교 다니면서 ㄱㄴ?
-
안그래도 많은데 n수생도 최다면 ㅜ
-
어감이 쎄긴했는데 차트 자체에서 보는 것들은 신빙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음. 차라리...
-
아 무서워 ㄷㄷㄷㄷㄷㄷㄷㄷㄷ
-
시대 미적 단과 0
작수 미적 백분위 98이고 현재 장재원 미적 단과 듣는데 강기원 대기걸고 라이브...
-
백분위 96/100/1/96/99로 뚫리는 의대가 없었나요? 제 얘긴 아니지만...
-
어떻게 오르비에서 본 합격증만 8개지
economy는 못참는데 ㄹㅇ
선추천 후정주행
그래도 설경은 경제죠?
감사해옹
개인적으로 역시 경영보다 경제가 간지 나는 듯 ㄷㄷ
유익추
SNU Department of Economics.
대 울 대
상습숭배
둘다못가서울었다
고경과 서울대 낮공에서 상경계열 복과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어떤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제2외국어를 탈주해서 인문계열은 못쓰고 로스쿨 생각은 없습니다
꿈은… 금융권에서 일하는 것과 기업 임원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닥후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서울대 경제학과 들어가려면 필수응시과목이 있을까요..? 그리고 대학학과별 필수응시과목 보려면 뭐라 검색해야나오나요 ㅜㅜ
어…없을 걸요..? 어디가 사이트나 이비에스 보면 나와요
ib쪽이랑 스타트업 생각하고 있지만 학문 자체는 경제학에 관심이 많은데 서울대일 경우에 경제학에 진학해도 경영학 졸업자랑 큰 차이 없이 ib업계로 취업할수 있을까요? 동일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가정하에요
꿈일 뿐이지만 ib경험하고 스타트업을 해서 살아가고 싶습니다
경영학회 하시고 그쪽으로 노력하면 아마 될 거에요
증권사 취업시에도 설경영이랑 경제랑 큰차이가 없을까요?
실질적인 진로에 있어서 경영/경제 로드맵은 동일합니다
반수할 거면 경영학과 들어가는 건 좀 힘드려나요..?
어... 상관없지 않을까요
경제이론에 별 관심은 없는데 팀플은 좋아하는 편이 아닙니다.
이러면 설경vs설경제중 어떤곳이 더 학점따기 빡세나요?
진로는 로스쿨 생각중입니다
설경제가 전필이 적어서 로스쿨 노리시는분들은 전필만 채우시고 학점따기 쉬운것들로 학점 딴다고 들었긴 합니다 이것도 사실인가요..?
+영어도 잘하진 않습니다. 영어보다는 수학을 잘하고 좋아합니다.
다만 수능 경제는 쳐다보기도 싫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경제뿐만 아니고 로스쿨 준비는 보통 그렇게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팀플은 좋아하는 사람이 없긴 해서 경제가 싫으시면 경영이 나을 듯요
아하 감사합니다 ㅜㅜ 그 1-2학기 설경 전필인 회계원리에서 고학번 cpa준비생들이 회계지식 복습한다고 수업에 앉아있으면 학점 양학당하는게 맞나요?
회원까지는 별 상관없는 듯 해요 중회부터 엄인데
컴개실이 설경 필수교양이던데 진짜 컴맹이어도 학점 잘받을수있는지 여부와
컴개실이 설경제 필교인지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잘 받는 사람도 있는데 일단 저는 못 받았고요 ㅎㅎ
어차피 파이썬은 어딜 가나 한번씩은 다들 배워야하더라고요
음 A 학점 비율보면 비슷하긴 한데 경제가 약간 더 잘 줄 걸요...?
금융권 등의 1티어(?) 취업만 생각한다면 경제보단 경영이 유의미하게 나은걸까요..? 중앙대/경희대 경영/경제 놓고 고민 중인데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경영/경제 졸업 후 진로는 사실상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정말 조금이라도 더 끌리는 학문 선택하세요
여의도에 있는 각종 증권사를 IB라고 하나요..?
창업이 1순위 목표고 혹시 취업을 하게된다면 금융 계열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ㄴㄴib는 investment banking이라해서 투자은행임 증권사랑은 좀 달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