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모토가 가성비라면 보세요.
안녕하세요.
수험생 학우분들 더운 날에 공부하느라 고생이 많으십니다.
전 오늘 공부에 조금 회의적이지만, 일부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을 남기려고 왔습니다.
만약, 본인이 정말 뜻이 있고, 꿈이 있고, 인생에서 무언가를 이뤄보고 싶다는 분이면 이 글을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본인이 인생을 노력없이 개꿀빨고 싶고, 그냥 놀기만 하면서 살고 싶고, 딱히 이루고 싶은것도 없다면 이 글을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지극히 후자인 사람의 입장으로써 말씀드리면 의대는 가는건 비추드립니다. 왜냐하면 의대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노력에 합당하는 수익을 버는 시점은 40대부터입니다.
저는 젊을때 인생을 즐겨야 한다는 마인드의 사람으로써 최대한 젊을 때, 놀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기준으로 몸도 마음도 늙은 40대에 안정을 찾고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건 전혀 의미가 없었습니다. 즉, 10대-20대-30대를 갈아넣어야 하는 의대는 저에게 맞지 않습니다.
만약, 저와 비슷한 성향이시거나 저와 마음이 맞다면, 인생을 개꿀 빠는 루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이걸 학창시절에 알지못했기에 어느정도는 후회하고 있습니다.
전 고등학생으로 돌아간다면, 정말 적당히만 공부해서 삼성전자 계약학과에 들어갈 것 같습니다. 실제로, skp에서도 학부생중에서 대다수의 학생들은 삼성전자에 들어가게 되며, 대학원 박사까지 따도 절반이상은 삼성전자에 들어가게 됩니다.
만약, 본인이 삼성전자 계약학과에 들어갔다면, 그냥 노시면 됩니다. 대학 4년동안 미친듯이 놀고, 그냥 거의 사람판독기 수준의 gsat 커트를 넘겨 입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제 20대 중반에 사회초년생이 되었다면, 최대한 빨리 돈을 굴리면 됩니다. 시드머니만 충분하다면, 10년이랑 시간은 10억을 만들기에 정말 어렵지 않은 시간입니다. 그리고 시드머니가 커지면 커질수록 더 큰 돈을 만드는건 더 쉽습니다.
20대 30대에 하고싶은것도 하면서 돈도 계속 굴리면, 40대에 퇴직하고 나더라도 먹고 살만큼의 현금 흐름은 계속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돈을 잘굴리는 사람이라면 부유하게 살아갈 수도 있겠죠. 가장 중요한건, 하루라도 빨리 시드머니를 모아서 돈을 굴리는 것입니다.
10대 때, 공부 덜 하고
20대 초반 때,신나게 놀고
20대 중후반 때, 하고싶은거 하고
30대 아니 죽을때까지, 개꿀빨면서 사십시오.
물론 이게 정답이라는 소리는 아닙니다. 하지만, 전 저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분들이라면,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아마 최강의 가성비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아주 가성비 있게 인생을 날먹하는 방법도 있으니, 공부하시다가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건강 챙기시면서 항상 행복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가지고 있는 목표가 본인의 가치관에 맞는지 확인해 보셨으면좋겠습니다.
저는 지금의 제 인생 매우 만족합니다.
모두 원하시는 목표 이루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파급효과 국어 후기 15
저는 파급효과 문학 하권교재를 9평에서 문학 4개를 틀리고 구매했는데요 옛기출과...
-
수학 실모가 최소점을 찍기 시작함 클리어 5회 지파급 2회 다 왜이리 어려움??
-
안녕하세요 Over.P 주벗입니다. 기출의 파급효과 물리1을 다 끝냈습니다. 책을...
-
기출의 파급효과 2
기파급에 마더텅,자이스토리 같은 것 안 사도 될 만큼 다 수록되어있나요?
-
파급효과 10
예비고3인데 지금풀어도 문제 없을까여? 수2는 기출 여러번 돌렸고 미적은 2번정도...
-
파급왔다 4
두께 실화냐.. 상자들고 깜짝놀랐네 ㅋㅋ 파급효과로 파급효과 만들기 start!
-
25. 파급효과 리뷰 [1] 총평 ① 특징1 : 포카칩님의 수학영역의 비밀을 계승한...
-
저작권자의 사정으로 인해 대신 글을 올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주 + 종이배...
-
저작권자의 사정으로 인해 대신 글을 올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주 + 고래...
-
파급효과 후기 10
안녕하세요 Art149 입니다. 오늘은 기출의 파급효과 미적2,확통,기벡...
-
뭐 그래도 검토한 책이 실제로 나오니까 뿌듯하네요 네 기출의 파급효과 기벡편이...
님 글에 동의함.
의대는 인생 꼴았을 때 밑바닥 안 무너지도록 기초공사하러 오는 곳이지 투입물 대비 산출물의 최적점이나 찾으러 오는 곳은 절대 아닌거 같다는 생각이 매일 들음.
의대에 과도한 환상을 품고 오는 사람이 너무 많음.
물론 인생의 밑바닥을 다질 수 있다는 것도 꽤나 큰 장점이고, 나쁘지 않은 곳은 맞긴 하지만, 잘나봐야 어차피 노동자인데 왜 성공한 자본가 같은 인생을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하는지 모르겠음.
물론 전 밑바닥 다지러 온거라 계속 다니긴 할거지만, 한국 의사라는 신분으론 절대 이룰 수 없는 성과를 기대하고 의대에 오는 사람이 많은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네요..
극강의 7ㅐ추
결혼최대한 늦게 하면 저게 맞음
이게 현명한거 맞지 ㄹㅇ
제가 장수생(22살)인데도 삼성전자 계약학과에 입학하는것이 가성비 있는 선택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