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52호]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Q.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Thomas Kuhn noted that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① difficulty in drawing novel theories from existing paradigms
② significant influence of personal beliefs in scientific fields
③ key factors that promote the rise of innovative paradigms
④ roles of a paradigm in grouping like-minded researchers
⑤ functional aspects of a paradigm in scientific research
Direction: 지문 내용을 한 두 문장으로 짧게 요약해보고, 지문의 핵심이 재진술된 선지를 찾아 표시해보세요.
↪ 한줄 요약
↪ 한줄 요약 예시
과학자는 사용하는 패러다임에 대해 동의한 공통의 설명이나 믿음이 필요없다. 그러나 패러다임을 이용해서 연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믿고 있다기 보단 사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① difficulty in drawing novel theories from existing paradigms
② significant influence of personal beliefs in scientific fields
③ key factors that promote the rise of innovative paradigms
④ roles of a paradigm in grouping like-minded researchers
⑤ functional aspects of a paradigm in scientific research
↪ 재진술로 정답찾기
use의 측면을 functional aspects라는 말로 반복했습니다. ②번은 주제문 속 ‘rather than believing’과 반대입니다. 따라서 답은 ⑤번입니다.
이번 지문에서 배울 수 있었던 점을 상기해 볼까요?
1.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2. 재진술을 통해 소재가 대립 되는 경우엔 어떻게 사고해야 할까요?
1.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주제문은 상대적입니다. 주제문이 없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소재가 있고, 글의 주제는 분명히 있습니다. 한 단락의 주제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General한 문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의 전개방식은 General to Specific 일 수도 있고, Specific to General 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게, 한 문장을 읽고 그 다음 문장의 첫 부분만 읽으면 그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
첫문장과 그 다음 문장의 첫 부분을 다시 가져왔습니다. ‘use’와 ‘believing’을 ‘rather than’을 이용해서 대립시키고 있습니다. 이 다음에 the use of ~ 라고 쓰면서 ‘use’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나올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모든 지문이 use와 believing의 대립이고, use에 초점이 맞춰져있음을 알고, 이 문장을 곧바로 주제문일 것이라 합리적으로 의심해 볼 수 있을 겁니다.
2. 재진술을 통해 소재가 대립 되는 경우엔 어떻게 사고해야 할까요?
: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 agreeing on or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ing of it
: standard interpretation, agreed reduction to rules
위는 use와 대립되는 내용입니다. 사실 use의 반댓말은 discard처럼 사용하지않다, ‘버리다’ 라는 뜻의 단어일 겁니다. 문맥적 반의어는 어휘적 반의어와는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야하고, 재진술되어 문맥적으로 동일한 말이라면 모두 ‘use’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 위에 열거된 모든 말이 문맥적으론 ‘use’와 대립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서 ‘use’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뜻인지를 음미할 수도 있습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영어팀
제작 일자 |2022.08.08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오홍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분명 집가면 자기 싫어질거란말이지 으음
-
안하면
-
라면을 국물 없이 끓여야 될거같은데 어케해먹지 쿠지라이식?
-
저 실패한건가여
-
으읏.. 2
수학지식이 너무 커.. 으으..
-
역시 집이 최고여...
-
다른 마스터들 별점을 알 수가 없네....
-
5수끝에 깨달아버린 국어.. 좀더 일찍 깨닫지 ㅠㅠ 오늘부터 칼럼 진짜 구체적으로...
-
ㅇㅇ
-
제발 진짜
-
나도 한창 운동할 때 가슴 커지니까 뭔가 자신감 생기고 자랑하고싶고 그랬음...
-
푸쉬업 개수를 늘려야하나...
-
나 남친 사귈건데 ㅇㅅㅇ
-
하 룻밤만 더자 면 서울 대 결 과가나 온다니! 생 각만 해도즐 거워 요!
-
원래 안 이러는데 컴퓨터가 늙엇나
-
전에 김기현 커리 탈려고 책 사뒀는데 책이 수1( 파데)...
-
사실 뉴런같은 개념들 다시 암기하고 나면 최소한 내가 준비한 수업은 내가 다...
-
07 의대 ㅇㅈ 9
예 이뤄내었습니다 저도 이제 의뱃을 다는군요 수고많았다 나자신이여
-
필요해서 만드는거구나 사람이 정지먹을때가 잇는거지
-
지구하는날은 행복하고즐겁게할수있는데 물리하는날은 수학 5~6시간하고 밥먹은다음에...
-
아 자러갈까 1
왜케피곤하지
-
ㅈㄱㄴ
-
맞짱 뜨실분 1
선착순 일명
-
서울대 메디컬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고민중인게 내신이 cc가 나올것으로 예상이...
-
어그로 ㅈㅅ하고,, 지금 독서 문학 둘다 김승리 듣고있는데 너무 안맞는거같음 그래서...
-
노트북 걍 ppt나 가끔 롤정도로 할꺼면 뭐 사는게 좋은거 같음? 0
레노버이런것도환영임
-
외모자존감 4
지금이 살면서 제일 바닥을 찍음
-
보딩고지 ㅗㅜㅑ 5
라면 추천좀 급함
-
이번수능 79 93 2 93 92 언확생윤사문입니다 시대재종-가격은...
-
첫 하루 빼곤 다 전화로 개별통보던데, 이 800명 가까이 되는 인원들을 다 돌릴 수 있는건가요?
-
사용자이름 warheart로 친구신청 ㄱㄱ
-
수학 0
기출, N제 2권, 교사경. 얘네 4개 4도류로 한달동안 놀아야겟다
-
ㅈㄴ한심하네 ㅉ
-
동생이 고민중이던데 뭐가 더 어려울거같음?
-
원래도낮았는데 요즘은더낮아짐
-
전혀 두렵지않다 0
라고 하면 거짓말이겠지..
-
현재 본인상태 0
승리의 딮터뷰 새로운 버전을 보려면 2월 15일까지 기다려야된다는게 믿기지 않아
-
다들 인스타에 이런거 올리길래 테마 돈주고 산줄 알았는데 무료였네
-
1.난 미적분 ㅈ밥이다 2.난 생각보다 영어를 못한다 3.작수에서 경제가 망한건...
-
ㄴㄴ… 준비하는 나를 보니 꽤나 적당한 시급이라 생각함.. 진짜 힘들어죽겠음 거의...
-
미적 2틀(27, 30) 1찍맞(28) 공통 14 15 20 21 22 틀렸는데...
-
일하기 싫어 1
-
물투조아 1
물투조아.
-
한국장학재단 생활비대출은 왜 부모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되는 거냐 진짜 미치겠네 0
그냥 햇살론 유스 받아야 되나..
-
다 떠났나보네 1
-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제 논술 수업에 대한 철학은 많이 말씀드린 것...
-
5명미점공인데 2명까진 방어되는데 3명이 내앞일 가능성있음? ㅈㄴ떨린다
-
자자 자기가 국어 평백 96이상은 찍힌다-> 잘하는거임 그니까 자기가 생각했을 때...
-
제가 보기엔 닥닥후인데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잇어서.. 투표 ㄱ
-
러셀 기숙 설문지에 현강 들을거냐 영상강의 들을거냐에 현강에 체크했는데 이거 바꿀수 잇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