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현주해] 매주 일요일 질문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현주쌤 조교 입니다!
매일 현주해는 10시~12시 사이에 질문을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가 답변을 달아드리며 진행됩니다!
어떤 질문이든 일주일 동안 공부하며 생겼던 질문을 남겨주시면 최대한 성심 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사실 제 의견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제가 공부했던, 학생을 코칭했던
경험을 가지고 여러분에 고민에 함께 하겠습니다.
어떤 것이든 질문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릴게요 :) 감사합니다 ㅎㅎ
+] 현주쌤 수업관련 질문도 해주셔도 됩니다 ㅎ
아래는 제 프로필입니다!
영재학교 차석 졸업
2021 6.9.수능 국어,수학 1등급
2021 수능 생명과학 만점
울산대학교 의예과 합격
+ [현주T 컨텐츠 구독/구입/신청 페이지 안내]
1. 현주간지 구독 페이지 : https://special.orbi.kr/yhj2022/
( 현주간지 구독시 구독 시작한 달의 교재부터 받으실 수 있고,
이전달 교재를 받아보시려면
https://atom.ac/books/8262/ 페이지에서 과월호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상상모의고사 해설 인강은 제공되지 않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현주간지 구독자들은 2022 수능대비 상상모의고사 해설 강의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2. 현강 수업 신청 페이지 :
현강/비대면현강 수업 신청자 모두 현주간지 무료
비대면현강 1년내내 70%유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34918
현장수업은 각 학원에 문의해주시면 되고,
비대면 현강은 위 게시글 클릭해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3. 스위치PT 페이지 : https://special.orbi.kr/yhj-switch/
4. 파이워치 구매 페이지 : https://atom.ac/books/7521/
+ <현주T 이벤트 >
무료참여) 선착순100명 캠스터디: https://orbi.kr/0005603704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같은 인재에게 장학금을 주지 않다시
-
프사달았음 8
평가좀
-
하 ㅅㅂ 0
좆같다 진짜
-
세종대 경상호텔, 단국대(죽전) 자유전공 어디 갈까요? 1. 꿈이 없음. 경상호텔...
-
상으로 내 목덜미 핥게 해줌
-
고2 겨울방학에 1
고2 겨울방학에 수1까지 나가는거면 많이 늦는편인가요? 지방 일반고입니다
-
7-12시 국어 13-20 수학 20-22 기타 이정도 ㅁㅌㅊ?
-
너무 미시적으로 한 문단 한 문장에 집착해서 내용을 파악하려고 하는지 체크해봐요...
-
이런말하는
-
화작 문법(15번까지):평균 25분(보통 화작에서 시간빨림) 문학 지문당:...
-
내일 친구 만난다~ 13
오늘은 빨리 자야지
-
이제 자러가면 되겠다….. 오르비 좋은꿈꾸세요….
-
그동안 9~10명 모집에 24년도에 8명 23년도에 16명 22년도에 10명...
-
아니근데 0
강기분 풀때 나만 시간 다 넘김? 지금까지 시간내에 푼거 많지 않은 것 같은데
-
시대 기출 0
미적 물1 지1 3개 받았는데 미적말고는 굳이 풀 필요없나요?
-
시대갤 1
보플다는 사람 개웃김 ㅋㅋㅋ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오늘의 교훈 3
서울은 겨울에 어지간하면 밖에 나가지 말자
-
한남 균컁수 10
한남유충이니꺼 균캉스 아님?♥♥
-
한 5년쯤 전인가요 한양대 관광하고 경영 같은 차수에 붙엇던 분이 있는데 이 분이...
-
아주대 전자 0
합격하신분들 환산점수 몇 점이었나요? 최초합 커트라인이 몇점인지 알려주실 분?
-
진짜 얼어죽겠ㄷ다
-
책 언제 와 2
수특 물2 대체 언제 나와ㅏㅏㅏㅏㅏㅏ 이번엔 어떤 유형의 문제가 담겨있는 건지 궁금하단 말이다ㅏㅏㅏ
-
에휴 7
울고잇어
-
과외 자름 2
주2회 30으로 하고 있었는데 주1회로 하자해서 그냥 제쪽에서 자름...3월까진 아무것도 안해야지
-
군대를 저 동네에서 전역해서 익숙한 거임뇨… 오해는 노노혓…
-
굳이 김과외에서 카톡으로 해달라고 해서 하는데 갑자기 사라진거 보면 진짜 카톡을...
-
혹시 빠지는분 계십니까!
-
지금 정시 A대학은 붙었고 B대학은 추합 기다리고 있고 추합이 만약 된다면 B학교를...
-
무한히 도전하는 마인드가 필요함
-
리트던 피트던 미트던 수능기출이건 위대한 텍스트를 많이 반복해서 읽으면 저절로...
-
서울대를 붙은 우리의 자랑스러운 오뿡이… 그런데 배경이 왠지 낯이 익다..? 바로...
-
현장감 빼고 지문+문제 난도로만 봤을때
-
ㅎㅎㅎㅎㅎ><
-
그럴 수 있지 암 그렇고 말고 맞아 맞아
-
난 멋진 악필도 아니고 걍 못쓰는거임..
-
[물1칼럼-기출리뷰] 25수능 물1 전문항 손풀이 16
안녕하세요! 칼럼러 정상화입니다! 물1칼럼의 첫번째 시리즈 [기출리뷰] 바로...
-
촌동네도 아니고
-
https://youtu.be/AaipPpKdvsE?si=yrLqhVIqAoPEUo0-
-
존나 추워
-
이거 하고 N제 할 생각인데 님들생각은 어떰뇨
-
안녕하세요 저능아입니다
-
감자면 맛있음 0
반박시 종북왜구
-
다 뒤졌다
-
일단 믹스견임
-
궁금해용
-
일반적으로 어디가 더 좋을까
-
예상 추합컷 몇으로 생각하시나요? 예비 50정도까지 돌 수 있을까요?
-
진심으로?
오늘도 질받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국어 공부 관련 질문이 있는데용
수특 수완 간쓸개 에쎈셜? 정도가 제가 가지고 있는 비기출 자료인데
수특 수완을 먼저 풀고 간쓸개 풀지
아니면 그 반대로 할지
권장해주시는 순서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실 저 같은 경우는 동시에 쪼개서 푸는 것 같습니다! 주간지는 꾸준히 푸는게 더 큰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중에 고른다면 수특 수완을 풀고 간쓸개를 푸는 것을 추천드려요! 간쓸개 자체가 EBS교재를 기반으로 만드는 것이라서 미리 풀어야 관련 문제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나가는게 수월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
파이워치 개같이 구매완료했습니다~~
ㅎㅎ 좋은 플래너인데 꼭 목표치만큼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국어가 2,3등급 나오는 반수생 입니다. 약 6개월의 시간 가량 공부를 놓다가 다시 시작하려니 버벅대는 감이 있더라고요, 처음으로 현주간지를 사봤는데 추천하는 공부법있으신가요? 현주간지는 해설에 거미손 분석과 행동강령 등이 있던데 활용도를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제가 비문학은 다 맞아도 문학을 항상 많이 틀려서 그런데, 문학 공부법 공유 부탁드려요,,!
우선 거미손 분석과 행동 강령을 활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선생님처럼 풀고 분석하려고 노력한 후 내 방법과 선생님의 방법을 비교하는 것 입니다! 이를 통해서 내가 어떻게 문제를 바라보고 풀어야하는지 또 이후에 분석을 할때는 어떤 방법으로 하는게 좋을지를 연구해나가는게 좋은 활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주간지에 문제가 많이 있고, 그중에는 기출문제또한 있으니까, 앞서 공부했던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주간지 사용법은 다루기 좋은 주제인 것 같아요! 칼럼으로도 작성해보겠습니다!
문학 공부법은 제 칼럼에 조금 자세히 나와있으니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공부하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혹시 수험생활을 하면서 하시던 루틴이 있을까요?
시험 직전에 뭘 한다던지, 하루를 끝내고 뭘 한다던지요!
시험 전날 30분 정도 반신욕을 하면서 마인드컨트롤을 했습니다! (어떤 모의고사든 상관 없이요!)
또한, 매일 12시 정도엔 공부를 마치고 1시간 정도 핸드폰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등 죄책감 없는 자유시간을 가졌습니다!
일요일 6시 이후 정도에도 쉬었던 것 같고요! (물론 공부가 필요할 땐 공부를 했던 것 같습니다!)
수학 1등급이 나올수 있었던 자신만의 비법이나 공부법이 있다면요? 기출+N제 단계로 넘어가기 전 과 후로요 !
우선 댓글 내용이 자세히 나와있으니 칼럼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실 저는 거의 처음부터 기출과 n제를 병행해서 전과 후로 나누기는 어렵지만, 초반에는 기출문제를 통해 유형 익히는 것을 가장 우선시 했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노트에 옮겨놓고 계속해서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이후에는 노트에 있는 내용들을 문제 조건들을 통해서 최개한 빨리 꺼내은 연습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기출 공부가 다 안된 상황인데
수특 독서와 기출 중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게 맞을까요??
연계 때문에요 ㅠㅠ
연계도 물론 중요하지만, 저는 기출을 통한 독해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이 안 되셨다면 무조건 기출부터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화작 강의를 봐도 화작 융합 파트가 굉장히 문제가 될 때는 어떡해야 할까요? 아마 융합 중 화작에 해당하는 토론, 논의, 대화 등 상호작용이 이뤄지는 파트의 문제인 거 같은데 어떡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제 질문에 답변 안 해주시나요
1.37번 언매 1번의 경우 현대어 해석에서는 뵙다라고 제시했는데 이는 객체를 높이는 동사로도 볼 수 있지 않나요
2. 만약 보다를 원형으로 따졌으면 왜 현대어에서는 보고자라고 안 쓰인건가요
3 이처럼 현대어해석 보다 중세 원문을 더 따져야하는 경우는 높임법말고 또 뭐가 있나요?
질문 다 하는게 안된다면 3번은 꼭 해주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