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에서 약사 수의사 역할
수의사 - 주로 연구직무에 많이 분포(가장 강점을 나타내는 부분은 동물에서 독성, 약효연구). 독성 쪽은 거의 수의사가 독점함. 전임상 단계에서 반드시 거쳐야하는 분야. 제약회사 이외에도 전임상 CRO(연구대행회사)로도 많이 진출함.
약사 - RA, 임상, 약무, PV 등등 여러 직무에 두루 분포. --> 외국계 제약회사(고연봉에 워라벨 최상) 진출에 용이
생산 쪽으로 가면 초고속 승진도 가능(그러나 워라벨 포기, 지방근무해야함)
연구직은 화학, 세포, 동물, 제제 연구 등에 두루 분포함. 약물동력학(PK), 제네릭, 제제연구 분야는 약사들이 거의 독점하는 분야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군대에도 체육 시간 같은 게 있나 선임들 눈에 들어야 낄 수 있나
-
아 군대가기 싫다 14
1달도 안남았네 입대 ㅋㅋㅋ
-
유치환 - 재수의 서 (생명의 서 재수생 ver.) 2
나의 성적표가 독한 표준점수(標準點數)를 구하지 못하고등급 또한 논술의...
-
내일 입대합니다 0
맨날 눈팅만 하다가 이렇게 글을 써보네요 내일 입대합니다 훈련소는 논산이네요...
-
의경, 군대! 0
의경 뺑뺑이 확정인가요?? 내년에 지원할텐데 내년부턴 확실히 뺑뺑인가요?
독성쪽도 약사들 많지않아요? 약학에서 독성파트 중요한부분인데
배우고 진출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말한 건 회사마다 다르긴 하겠습니다만 대체로 수의사 쪽이 독성쪽 헤게모니를 쥐고 있다는 말입니다.
넵넵 잘 이해 했습니다
지방약대더라도 제약회사 쪽 진로에 불리한 점은 없을까요..?
네네 지방대 약대 출신 대학원 동기들도 다들 잘 취업해서 잘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