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2호] 왜 너는 탐구를 틀렸는가?
칼럼 (설명).pdf
안녕하세요!
저는 생명과학 과외를 50여개 해온, Team PPL의 생명과학 팀 팀장입니다.
바로, 본론에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과학 탐구의 등급컷이 매우 낮은 이 시점에 저희는 한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 과학 탐구에 대한 등급컷이 이렇게 낮은가?'
'그리고 나의 성적도 왜 낮은가?'
저는 화학과 생명과학을 공부했고 화학 과외도 진행했지만, 생명과학을 예시로 들도록 하겠습니다.
'왜 등급컷이 낮은가?'에 대한 질문에 어떤 강사든 가장 쉽게하는 말이 기출 분석이 부족해서입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고3/N수생들은 어떻게 기출 분석을 해야하나? 라는 말에 막연히, 문제를 풀고 풀고 풀다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외우고 다시는 틀리지 않을 정도까지 되더라도 변형이 조금만 되어버린다면 다시 틀리게 되죠
그리고나서 항상 하는 말은 '기출도 볼 만큼 봤고 할 만큼 했는데 왜 자꾸 틀릴까요?' 또는 '왜 실전에서만 이렇게 약한걸까요?'입니다.
그건 그냥 공부가 덜 된 것이 아니라, 방법을 제대로 몰라서 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설명을 드리기 위해, 생명과학 단원 - 막전위 Part.를 간단하게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 뒤를 보기 전에
막전위 평가원/수능 기출 문항 중
1. 2018년도 수능 11번 문항
2. 2020년도 9월 평가원 16번 문항
3. 2020년도 수능 15번 문항
4. 2021년도 6월 평가원 11번 문항
이 4문항을 풀고 오기를 권장합니다.
먼저, 2018년도 수능 11번 문항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처음 이 문항을 볼 때, (풀이용)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문항을 풀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총 시간 = 이동 시간 + 막전위 변화 시간 = 이동 거리/속도 + 막전위 변화 시간
라는 공식으로 막전위 변화 그래프에 점을 찍거나 선을 그어가면서 푸는 장면들을 학생들에게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처음 풀 때, 이 과정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입니다.
2. 다시 이 문항을 볼 때, (분석용)
수많은 기출 문항과 사설 문항이 나온 이 시점에서, 처음 풀 때와는 2가지가 달라야한다고 생각합니다.
Point 1> 이 문항을 빠르게 푸는 방법
Point 2> 이 문항과 다른 평가원/수능 문항의 연계성
1은 첨부 파일을 통해 같이 꼭 읽어보기를 바랍니다. - 해당 방법으로 남들보다 2배는 빠른 풀이를 소화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2>는 기출 문항 1, 2, 4를 같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총 시간 = 이동 시간 + 막전위 변화 시간 = 이동 거리/속도 + 막전위 변화 시간
이 문항에서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이 공식을 통해 풀고 마칠 것입니다.
하지만, 이 공식으로 다음 기출 문항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기출 분석은 2가지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 단독 문항 내에서의 분석 (point 1)
2. 다른 문항과 연계된 분석 (point 2)
단독 문항 내에서의 분석은 첨부 파일을 통해 알 수 있고
다른 문항과 연계된 분석은 문항 1, 2, 4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문항 1의 막전위 표의 경우에는
세로는 속도, 가로는 거리를 나타냄으로써
이 문항 전체에서 총 시간을 일정하게 했고, 세로의 막전위를 비교할 경우 속도를 알 수 있게 가로를 비교할 경우 거리를 알 수 있게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문항 2의 막전위 표의 경우에는
세로는 속도, 가로는 총 시간을 나타냄으로써
이 문항 전체에서 거리를 일정하게 했고, 세로의 막전위를 비교할 경우 속도를 알 수 있게 가로를 비교할 경우 총 시간을 알 수 있게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문항 4의 막전위 표의 경우에는
세로는 총 시간, 가로는 거리를 나타냄으로써
이 문항 전체에서 속도를 일정하게 했고, 세로의 막전위를 비교할 경우 총 시간을 알 수 있게 가로를 비교할 경우 거리를 알 수 있게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 만약 신유형의 문제가 출제될 경우에는 3가지 (총 시간, 거리, 속도)가 모두 변수인 문항이 출제될 수 있고, 교육청 2020년 4월 문항이 그 예시입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런 분석을 한다면, 문항 3번을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문항 전체에서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동 시간과 이동 속도는 서로 역수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리 = 속도 x 시간 -> K = 속도 x 시간'
이라는 것 입니다.
이처럼, 과학 탐구를 학습하실 때 문항만의 심화적인 분석 + 다른 문항과의 연계된 분석을 하시게 되시면 훨씬 더 효율적인 학습을 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칼럼 제작 | Team PPL 생명과학 소속 생무리 팀
제작 일자 | 2021.12.10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발돌게해주세요
-
나좀붙여줘 힘들어 마음이
-
올해처럼 무난하거나 만약 이것보다 수능이 더 쉬워진다면??? 뭔가 수능 난이도가...
-
다들 축하해여 2
추합도
-
여자랑 ㅈㄴ 말하니까 여자랑 이제 말 좀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근데 경멸하는...
-
누르시겠습니까?
-
냠냠 5
옴뇸뇸
-
프사 변경 완 5
아스나 예쁘다 으흐흐
-
발표안한학교 4
시립 숭실 아주 세종 경북
-
어느정도 되나영
-
홍대 1차추합 5
64명 뽑고 예비 43번인데 ㄱㄴ?
-
낙지에서 70등인가까지 추합 돈다그러고 마지막날 42등이길래 당연히 붙겠거니 하고...
-
방금 엄마한테 전화해서 찡찡댔더니 위로해주심
-
눈보라를 뚫고 가야하는군아
-
실제로 착한 중국인은 다죽어서 그런거아님?
-
잠시 지방대따리는 빠져있겠습미다..
-
멈춰.. 멈추란말이야..
-
투데이개높네 4
오르비 네임드의 삶이란..
-
올해도 잘부탁드려요
-
ㅇㅇ
-
오노추 0
노엘 - RHYMING ... 지금듣기에뭔가아련한
-
? +설기계 397.9 최초
-
경제 컨텐츠 발견!! 13
경제는 이런거나 풀어야함...?
-
븅갓같은 짓이다..
-
20수능 친 뒤로 놀다가 약대가고 싶어서 돌아왔어용 20땐 가형 백분위 92였는데...
-
3개년 추합번호 1
..기출도 아니고 이런 말이 이상하지만 3개년 추합 번호 안이면 기대는...
-
학교마다 다르긴할텐데 대충 가군에 66명뽑는다 치면 1차추합때 몇명빠짐?
-
자퇴 D-1 0
-
왜 투데이가 100이 넘지
-
가능한 예비 번호를 받은 고대는 (어문 예비 1번이라 무한 기도메타이기는...
-
제발 2
붙게 해주세요ㅠㅠㅠㅠㅠ
-
이건 너무 욕심인가 자유전공학부임
-
짜피 나는 계속 상주하긴 하는데
-
한양의대vs설경 7
한양의대vs설경입니다. 여러분은 어디가실건가요??
-
제로투영상 올림
-
ㅋㅋㅋㅋ
-
현역정시설경제 3
ㅎ헤
-
있음??
-
일본인이랑 한국인/중국인은 차이가 꽤 커서 바로 알아볼 수 있는데 중국인이랑...
-
떠벌리고 자꾸 개소리하고 다니는새낀 ㄹㅇ 뭐 어케해야하노 ㅋㅋ 얼굴보면 부모 개체수...
-
kick cock axis
-
홍대 추합 확정인 예비 받은 사람이 더부러워ㅅㅂ 난 왜이럴까 저붙여주세요제발요
-
추합 많이 돔??
-
오늘만큼은 맛있는 거 먹고 좋은 꿈 꾸세요!
-
어디갈까요 4
연하스 vs 서강경 어디가실 건가요..???
-
인문대에 사람이 늘겠군
-
시대재종 붙엇을때보다 안기쁘네…
1등급 목표로 화.생중 어떤 과목 추천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팀PPL 수학 팀장입니다.
일단 과탐은 수요가 지구과학1과 생명과학1으로 쏠려있는 경향이 좀 있습니다. 난이도 만으로 어떤 과목이 좋다 이런식으로 추천드릴 수는 없지만 학교 내신에서 공부했던 과목이나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교 학과와 관련된 과목 (ex. 전화기를 희망하면 물리를 선택하는 등) 을 선택하는 등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람마다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극단적으로 생각해보면 수요가 많을수록 1등급 비율이 높으니까 화학보다는 생명이 유리할 수 있다고 짧게 의견을 드려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