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은 어떤 과정을 통해 발전하는가
본 칼럼은 제가 개인적으로 생물학, 물리학, 경제학을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공부하거나 관련 서적을 읽으면서 깨달은 바를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기본 전제로 아래 링크의 제 칼럼을 추천합니다.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https://orbi.kr/00022542341 - 단순하게 모형화해서 설명하기
저는 비록 공학도이나 경제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이것저것 잡지식을 많이 쌓아보았습니다. 공학의 아이디어나 컨셉은 경제학, 경영학, 행정학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아서 재미있게 음미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인간이 마지막으로 완성하게될 학문이 바로 경제학 아닐까 싶습니다. 어느 정도 수준에 다다라서 성장, 변화속도가 정체되어가고 있는 몇몇 학문과는 달리 경제학은 지금도 끊임없는 고민과 연구를 통해 수정되고 보완되고 있습니다. 학문이 생명력을 가지고 역동적으로 숨을 쉬고 있는 것이죠.
그만큼 경제학은 다른 학문에 비해서 역사가 짧으며, 앞으로 규명해야할 과제나 목표가 많이 있으며 또 누구나 응용하거나 참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는 경제학자가 아닌 심리학자였습니다.
(위의 사진은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심리학자인 데니얼 카너먼. 경제학자 출신이 아닌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4명 중 한명입니다)
경제학은 여태 인간의 합리적인 판단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발전해왔습니다. 체계적으로 경제학이라는 개념을 정립한 애덤 스미스부터, 다양한 경제학자들이 인간 사회와 경제구조를 해석하고 예측하기위해 다양한 실험과 생각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200년 전의 경제학을 당장 읽어보면, 현대인의 눈에는 부족한 점이 꽤 보입니다. 완전히 틀렸다기보다는, 전제를 지나치게 극단적으로 잡았거나, 혹은 인간의 욕구를 단순하게 보았거나, 다양한 변수를 모두 고려하지 않고 일부만 선택하는 등의 다양한 한계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그 한계를 끊임없이 수정, 보완해가며 점점 경제학은 다루는 영역이 더 넓어졌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합리적인 선택‘만’할 것이라는 예상도 깨졌고, 이론과 달리 사람들은 합리성보다 평등에도 큰 의미를 두었으며, 인간이 또 탐욕스러움만 가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아주 적은 변수와 상황만을 고려하던 경제학이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해졌으며, 조금씩 정확해지고 더 유용해졌습니다.
뼛속까지 공학도인 저는 이걸 보니까 물리학의 발전 과정이 떠오르더군요.
(왼쪽은 뉴턴, 오른쪽은 아인슈타인. 두 사람 모두 인류 역사에서 물리학의 혁신적인 발전에 기여했으며 각각 고전역학, 현대물리학의 아버지입니다)
뉴턴 이전까지만 해도 물리학은 대단히 경험적이고 저차원적인 성격이 강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 이후 특별히 큰 발전이 없었으나, 뉴턴이 등장하면서 물리학은 아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뉴턴은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물리의 기반(고등학생들의 주적?)을 닦았으며, 부분적으로 한계가 있음에도 일상생활을 해석함에 유용하기에 여전히 대중적으로 인정받습니다.
그런데 뉴턴의 고전역학도 여러 사례와 측정 결과를 통해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뉴턴의 예측과 다른 현상이 여럿 발견되는데, 이걸 또 아인슈타인이 멋지게 해석하고 이해합니다. 고전물리학의 한계는 인간이 보편적으로 겪는 거시적인 세계에 치우쳐졌기 때문에, 블랙홀이나 미세한 시간의 오차 같은 천체와 관련된 부분에서 한계에 부딪힙니다.
아인슈타인은 고전역학에서 더 나아가 더욱 엄밀한 증명과 계산을 통해 고전역학이 예측에 실패한 현상을 성공적으로 해석했고, 최근에는 그가 예측한 중력파 또한 검출되었습니다.
결국 물리학과 경제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니, 저는 개인적으로
‘더욱 다양한 변수를 받아들이고 좀 더 정확한 예측에 가까워짐’
을 느낍니다. 고전경제학은 상대적으로 적은 종류의 변수와 상황을 놓고 분석을 시작했고, 때문에 복잡한 변수와 조건이 영향을 미치는 일일수록 해석에 한계를 체감합니다.
마찬가지로 고전물리학에서는 단순하게 모형화하고, 이해하기 쉽게 여러 가지 조건과 오차를 배제하고 임의적으로 설명하기 시작했으며, 시간이 흘러 이제 현대 물리학은 수많은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여 복잡한 계산과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이 세상에 어떤 사람들이든지 완벽한 사람은 없고, 장단점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을 판단할 때, 아주 몇 가지의 단점만을 보고선 ‘저 사람은 나쁜 사람이구나’라고 판단하면 그건 잘못된 판단입니다.
결과론적으로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이라는 사실을 맞췄을지라도, 부족한 근거를 통해 내린 결론은 여전히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사실을 맞춘 것은 운에 가깝지 적절한 추론을 통해 사실에 가까워진 것이라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눈을 가리고도 온전히 코끼리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엽적이고 낮은 수준의 판단밖에 하지 못합니다)
사람을 판단할 때도 다양한 장단점을 알아야지 그 사람을 온전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인간을 완벽히 판단할 수 있긴 하겠냐만, 그래도 다양한 관점과 평가를 통해 조금 더 진실에 가까워 질 수 있습니다.
결국 학문이 발전하는 과정을 보면 다양한 관점과 결과를 모두 수용하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마찬가지로 공부하는 학생 여러분 입장에서도 넓은 시야를 가지길 권합니다.
0 XDK (+40)
-
40
-
캬 기다리던 오르비 독서대가 도착했슴다! 아직 17살은 오르비를 잘 모르는...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낼수 있다는 것은 진짜 멋있는 것 같네요 ㅎㅎ
빅데이터 존재이유인것같습니다
AI와 기술의 발달로 나중에는 ceteris paribus도 필요 없어진 경제학이 나오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