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반사의 원리와 종류 (체성신경 vs 자율신경)
많은 분들이 무조건반사의 개념을 잘못알고 계십니다.
특히 무조건 반사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고 자율신경이 무의식적인 움직임을 조절하므로, 무조건 반사는 자율신경이 조절한다고 착각해버리곤 합니다.
그런대 사실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반사는 자율신경이 주관할 수도 있고 체성신경이 주관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 말초신경계의 구분 및 구조를 아래 링크에서 공부하시고 와야 재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부하시고 오세요.
(말초신경계의 구분 : https://orbi.kr/00017091187)
그림을 보면서 공부하면 좀 더 이해가 쉬울 듯합니다.
무조건반사는 아래 그림처럼 자율반사와 체성반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체성반사에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사용되고 최종 작용기로 골격근을 움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율반사에는 감각신경과 자율신경(교감or부교감)이 사용되고 작용기로 내장근, 심장근, 샘조직, 지방세포 등을 움직입니다.
여기서 자율반사와 체성반사가 똑같은 감각신경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 이러한 구조입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미치광이 싸이코가 갑자기 우리의 손을 망치로 세게 내리쳤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도피반사(몸을 움츠리는 행동)와 소름(닭살 돋음) 혹은 머리 곤두섬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여기서 닭살과 머리곤두섬은 자율반사에 해당하고 도피반사는 체성반사에 해당합니다.
그러면 무조건 반사가 아닐 때에는 이것들이 어떻게 작동할까요? 도피반사에 해당하는 골격근(여기서는 팔근육)은 평상시에 밥먹을 때 사용되는 등 인체를 움직이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털을 곤두새우는 내장근은 추울 때에 오리파카처럼 몸을 부풀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무조건 반사의 근본적인 개념을 알수 있습니다. 무조건반사의 초점은 ‘대뇌의 지배를 받지 않는 신경계의 작용’이 아니라 ‘평상시보다 훨씬 빠른 자극에 대한 반응’에 있습니다. (우회로에 대한 개념은 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니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실제로 관심이 있는 시험에 관해서 생각해 봅시다.
고교과정에서 공부하는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의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무릎반사, 도피반사, 배뇨반사
동공반사
재채기, 하품, 딸꾹질, 침 분비, 눈물 분비, 구토
그럼 여기서 무엇이 체성반사이고 무엇이 자율반사일까요?
사실 신경계는 워낙에 복잡하기 때문에 어떠한 기관들은 자율신경과 체성신경이 모두 연결된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교과서 등에서 그림으로 자주 나오는 무릎반사와 도피반사는 체성반사인 반면(그래서 교과서 등에서 주구장창 이런 그림만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 외 나머지는 전부 자율반사에 해당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생 성불합니다 진짜 감사합니다 인생 첫 합격증이 서울대라는게 믿기지기 않습니다...
-
뱃지 4
뱃지
-
(PDF 배포) 2026 InDePTh 모의고사 1회차 문제지 & 빠른 정답 0
*게시글 최하단에 빠른 정답 두었습니다. 상세분석서와 총평 파일은 내일 (2/14...
-
[속보] 08년생 김건희, 스노보드 男 하프파이프 깜짝 금메달 2
13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스노보드 남자...
-
대체뭔일이지이게
-
아니면 420.8 전원합격 420.6 불합격임? 동점자 전원합격 안 주는건 아는데...
-
플레 가고싶다
-
ㅇㅅㅇ?
-
설의 추합은 ㅋㅋㅋ 상상도 못했네
-
물론 안가지만
-
단군 이례로 한번도 없었음?
-
빨리 새터 가세요 버스 아직 안 떠남
-
걍 경제할까 3
경제 생명하면 설문과에는 딱 유리하고 건수도 되고 공부량도 적고 의대도 되는데......
-
진짜 존나 행복할듯ㅋㅋㅋㅋ
-
일단 만들려면 0
따로 취합하면서 입결표 등재동의 이런거 하긴 해야할듯 아무래도 개인정보니까… 인터넷...
-
큿소 추잡한 변명이다
-
건국끼얏호우~ 1
149->104번 건국끼얏호우~
-
김범준 스블 0
시잘점 다 듣고 복습한후에 스블 하고 김범준 기출 풀면서 나가는 거 어떻게...
-
부산의 지역은 0
예비 몇번까지 돌까요?
-
개쩌네
-
사십분전
-
미적 -> 확통 넘어간다는 친구가 있는데 확통 개념 다 습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
뱃지 받았네요 4
드디어!!
-
이름 안 가려서 재업했어요;; 진짜 정말 감사합니다 설대식 393인데 이게 되네요...
-
축하드립니다. 3
-
설의 2
설마 설의생이 수능 한번 더 본거 아님?
-
5명이 빠져?
-
수1 - 내신인가 수2 - 재밋음 확통 - 개념배울때행복 기출풀때 돌연사 미적분 - 이게맞나
-
저는 중앙대로 반수할려구요 ㅠ.ㅠ 의대아님안가는분의의의지를이어받을게요 ㅠㅠㅠㅠㅠ
-
하나 만들까요
-
수능에 대한 지능(iq)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과거부터 여러 말들이 있었던것...
-
카이스트 갈거면 설공 가면 되는거 아닌가
-
대 이 스 트 1
ㄹㅇ
-
설의 버린 사람은 이제 메디컬 쳐맞을걸 예견한거 아닐까? 0
의치한약수 다 쳐맞을텐데 앞으로
-
설팽카좌시여… 0
-
이게말이되나??
-
여기 점공보실수있는분 계신가요ㅠ
-
3시간 꽉 채우나요? 지금 30분밖에 안 지났는데 넘 지루하네염..
-
설의 버리고 카이 11
당장 카뱃을 주섬주섬
-
지갑을 사야겠음..ㄹㅇ 지갑 개꼬질거리네
-
카이스트 갈거면 걍 설대 일반과 가지 왜???? (카이스트 무시 아닙니다))
-
제주의.단대치대 멏번까지 추합되었는지 아시나요? 부탁드립니다
-
약대는 졸업하면 의대랑 다르게 전문의 이런 거 안해도 되나요?
-
이동건같은사람이 과외하다 수능 한번 더 보면 설의 추합이 돌지않을까 근데 진짜 왜도냐
-
와
-
420.6
-
설의추합이면
-
궁금해서 봤는데 진짜 일반 한 명 돌았는데요??
그냥 뼈 움직이면 체성신경, 내장 움직이면 자율신경 아닌가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009.png)
맞습니다. 그게 더 알아보기 쉽겠네요.그런대 다시 생각해보니 뼈가 움직이는 것으로 기준을 잡으면 '재채기'에서 헷갈리겠네요.
일단 추천드렸고
헷갈리기 쉬운거 칼럼 써주시니좋네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006.png)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