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질문들 (곹님들 전부 컴온)
1. 영양염류가 증가하면 플랑크톤들이 그거 먹고 겁나 많이 지잖아요.
근데 영양염류는 수온이 낮을 때 많고,
수온이 높아졌을때 플랑크톤이 겁나 증가하는게 상식인데..
어찌된 영문입니까..??
2. 내행성은 내합의 위치에서 겉보기 등급이 가장 큰 게 true of true 입니까..??
3. 도플러 효과에서 행성의 공전궤도의 반지름이 작아지면 행성의 공전속도가 커지고 고로 항성의 공전속도도 커지게
되어 즉, 공전의 주기가 작아지게되어 자주 관측된다고 알고 있는데,
행성의 질량이 커지는 거랑 관련이 있나여..??
제 머릿속을 괴롭히는 세가지 것들이네요..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ㅜㅜ
너무 장황하게 쓴 거 같은데 양해좀 해주세용 그럴만한 시기잖슴 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청솔,대성,...등등은 너무 후하고... 김영일씨 배치표는 너무 짠거 맞죠?? 혹시...
2 시직경이 젤 큰거
구체적으로 무슨소리죵
관측 크기가 젤 크다구요 밝기는 최대이각 전후에서 제일 밝음
시직경 제일 큰거는 아는데, 밝기로 따지면 내합에서는 어떰
안밝아여 기출에 밝기 그래프 있음
16수능 20번일꺼예요....ㅎ
그럼 겉보기 등급 젤 크다고 해도 되는거?
겉보기 등급이 젤 큰건 외합부근 일걸여 그래프상 근데 그래프도 안주고 물어보진 않을듯
수정할게요 외합 내합 둘다 겉보기 등급 젤 크다고 보시면 될듯
1. 온도 높아지면 플랑크톤이 처묵처묵
2.삭
3.질량은 편차랑 관련있어요
옹 1,3은 이해 잘 되네여
근데 2에서 삭 이라는 말씀은 밝기가 제일 낫다고 봐도 무방할까여?
네
수성은 외합에서 최대밝기 금성은 최대이각부근임
감샤합니닷
공전속도가 빨라지니까 당연히 시선속도 증가=편이량 증가
+행성의 질량이크면 공통질량중심이 행성쪽으로 이동해서 위와같은맥락으로 편이량 증가
때문에 적조는 수온 높을때 부영양화가 일어나서 조류가 많이 증식됐다가 빨리 죽어 bod가 늘어나는거라고 알고 있지만.. 아닐 수도 있으니 다시 찾아볼게여
????? 2번
내행성은 동방/서방 최대이각 ~ 내합 중간쯤에서
제일 밝게 보이는거 아닌가요...?
금성은 그런데 수성은 아닌걸로 알고있어요 ㅠㅠ
흠.. 금성은 기출에서 몇번 본거같은데..
수성도 혹시 나왔었나요? 그냥 암기만하긴 했었는데..
여기용!
보라색이 금성 주황색이 수성 맞아요?
네네!